유혜련의 기사 보기

2022. 제19회 <한국화민예품-단오부채전>

레이디타임즈 2022. 6. 15. 14:05

2022. 19<한국화민예품-단오부채전>

2022. 6. 14() ~ 6. 20()

공주 이미정갤러리 (다양한 부채작품 200여점 설치)

 

2022. 6. 29() ~ 7. 5()

서울 아리수갤러리(인사동) (다양한 부채작품 200여점 설치)

 

 

 

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한국화민예품 - 단오부채

한국화민예품은 한지민예품을 포함하여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통해 전승된

민중의 다양한 생활용품으로

한국화의 특성을 지니는 조형 예술품이며

현대적 단오부채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

 

 

<< E-BOOK 보기 >>

2022 19회 힌국화민예품-단오부채전

https://online.flipbuilder.com/crart1004/tygu

== 전시작품을 직접 감상할 수 있습니다 ==

 

●● E-BOOK 링크 / 꼭 넣어, 함께 감상하지요~~ ●●

 

 

 

 

한국화민예품 - 단오부채, 현대에 생활화하다 ~~

 

2004년부터 시작한 <한국화민예품전>은 다양한 한지를 활용한 부채, , 방패연, 우산, , 그릇, 격자창, 병풍, 가리개, 족자 등 전통민예품과 한국화의 융합으로 현대적 실용성과 전통 미학의 가치를 연구해 왔다. 이는 우리 선조들이 4계절 세시풍속과 민속놀이를 바탕으로 일상에서 사용했던 생활용품이다.

 

그동안 한국화민예품전은 전문작가, 미술대학 교수, ··고교의 미술교사 등 많은 작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무엇보다 다양한 교육 분야의 전문가들이 동행해 한국화민예품전이 지향하는 전통미술로서의 한국화 교육 방안을 함께 연구하였다.

 

2013년에는 10주년에 즈음하여 <한국화민예품전>과 함께 <전국중등미술수석교사 워크숍>, <한국화민예품 초··고 학생작품 자료전>, <한국화민예품 청소년 체험축제>를 열었고, <한국화 한지민예품교육> 책을 발간하였다. 이후 한국화민예품전은 전시와 교육·체험 활동을 함께 진행하여 실제의 교육적 활용과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획전으로 거듭났고 2018, 2019년에는 <한국화민예품-현대 한국화와 민예품, 그 교육적 활용>의 책으로 집대성하며 한국화민예품이라는 현대적 의미의 전통미술 영역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올해는 <한국화민예품-단오부채전>으로 기획, 추진한다.

예로부터 바람은 신이 일으키는 것이라고 믿어왔다. 부채도 바람을 일으키는 독특한 기능 때문에 바람의 힘을 지닌 특별한 존재로, 주인의 신분이나 지위를 알리는 도구로도 쓰였으며, 조선시대에 임금은 단옷날 신하들에게 단오선(端午扇)을 하사하였다. 오늘날 이러한 전통 합죽선은 시원한 바람으로 뜨거운 여름을 힐링하고 우리 선조들의 아름다운 정감을 현대에 생활화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한국화민예품전이 학교와 사회 문화예술 전반에서 민중적인 생활예술로서 계승 발전하는 문화적 가치를 찾고, 그동안 진행된 한지 부채, , 방패연, 우산, 기타 민예품 등등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화민예품의 현대적 전통과 새로운 방향성을 진단할 수 있었다.

한국화민예품전은 가장 한국적인민예의 전통을 수용하고 융합하여 현대 한국화를 실용성을 지닌 새로운 예술작품으로 창작해 가는 일이다. 민중들의 삶 속에 친근하게 파고들었던 민예의 예술적 가치는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동시대 미술의 목적과도 일치한다 할 것이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화민예품전>은 우리 선조들의 멋을 재인식하고 전통 미학을 더욱 새롭게 조망하고자 한다. 더불어 작품의 현대적 다양성을 추구하며 초··고교의 한국화 교육에 기여하고, 오늘의 사회문화 예술교육과 평생교육에서도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길 축원한다. 이것이 한국화민예품전의 궁극적인 지향점이다.

 

 

전시작가

강규성, 강라홍, 고정곤, 김상태, 김성관, 김성장, 김일도, 김준영, 김혜영, 마진교, 박규민,

박미연, 박빛나, 박성식, 박인순, 박일규, 박차분, 박해인, 백인현, 변희경, 성민우, 송은아,

신주호, 심미수, 안영애, 안현선, 양정무, 유덕철, 윤여임, 윤여환, 이경미, 이계길, 이석구,

이성구, 이성우, 이영수, 이종옥, 이지연, 이진숙, 이창구, 이형구, 이환범, 임서령, 임원빈,

장지성, 정경철, 정기해, 정승섭, 조성순, 조평휘, 조향진, 조희경, 최기성, 최기운, 최명숙,

하영준, 한윤기, 한은경, 허정임, 허진권, 홍미림, 홍민표, 홍석창, 홍원기, 황의정

 

 

 

한국화민예품전 HISTORY

 

2004 한국화와 전통민예품의 만남전

2005 한지와 민예품의 향기전

2006 전통 한지를 통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07 전통 <>을 통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08 한지 <우산>을 통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09 전통 <>을 통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10 한지 <부채>를 통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11 다양한 민예품을 활용한 한국화전통미술제

2012 다양한 <부채>를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3 전통 <·부채>를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4 한지 <부채···우산>을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5 한지 <부채···우산>을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6 한지 <부채···우산>을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7 한지 <부채>를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8 한지 <부채···우산>을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19 <단오부채>를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20 <단오부채>를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21 <부채···우산·>을 통한 한국화민예품전

2022 한국화민예품-단오부체전

 

 

한국화민예품연구소

https://cafe.daum.net/thekoreanpaper

 

 

 

----------------------------------------------------------------------

<첨부 - 작품사진 자료>

 

01. 백인현(공주교육대학교 명예교수)

02. 홍석창(홍익대학교 명예교수)

03. 조평휘(목원대학교 명예교수)

04. 정승섭(원광대학교 명예교수)

05. 이영수(단국대학교 명예교수)

06. 변희경(한국화 작가)

07. 김성장(서예 작가)

08. 한윤기(한국화 작가) )

09. 이석구(공주대학교 명예교수)

10. 조향진(공주교육대학교)

11. 이형구(부산교육대학교 교수)

12. 강라홍(한국화 작가)

13, 한국화민예품 <전시도록 발간> : 2004~2022

14. 한국화민예품 <책 발간> : 2013~2019

15, 한국화민예품 <··고교 학습자료전 / 교사 워크숍> : 2013

16. 한국화민예품 <청소년 전통문화의 향기-체험축제> : 2013~2022